1. 랜카드 (LAN card) - 컴퓨터를 LAN에 연결해주는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장치들이 연결되어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동작 원리 · OSI 7계층의 1계층(물리계층), 2계층(데이터링크계층)의 기능을 제공 · 기능 - 컴퓨터 내부에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바꾸어 네트워크로 전송 =컴퓨터 내부에서 묶여있는 데이터를 끊겨있는 데이터로 바꾸어 네트워크로 전송 - 네트워크에서 직렬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바꾸어 컴퓨터 내부로 보냄 =네트워크에서 끊겨있는 데이터를 묶여있는 데이터로 바꾸어 컴퓨터 내부로 전송 -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 정보의 최소단위인 비트를 모아 패킷이라는 형태로 변환 후 한꺼..
토폴로지(Topology) LAN 토폴로지 LAN을 구성하기 위해서 컴퓨터, 전송매채, 접속장치가 필요하다. LAN을 구성한다는 것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각각의 컴퓨터를 어떤 형태로 연결할 것인가 에서부터 출발하며 비용,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토폴로지를 선택한다. ■ 토폴로지 - LAN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놓은 형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의 배치 형태 * 노드(Node) 네트워크의 연결점, 데이터 송신의 재분배점 또는 끝점 LAN에 연결되어 참여하는 장비와 컴퓨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링크(Link) 노드 간 물리적인 연결 ■ 토폴로지 분류 - 정보 통신망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형태를 취할 수 있음 - 주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토폴로지는 5가지가 있다 ..
LAN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의 분류 ■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용 정보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개인영역내의 소규모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집,사무실,빌딩이 같은 제한된 지역에서 여러대의 장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신뢰성 있는 고속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서로 관련있는 LAN들을 상호연결하는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 LAN을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LAN을 만드는 기술) - 미국의 제록스사가 개발한 근거리네트워크(LAN) 기술 -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LAN) · OSI 7계층 참조모델에서 1계층,2계..
구조체란? 하나이상의 변수를 묶어 새로운 자료형을 정의하는 도구이다. 자세하게, struct person{}이라는 구조체를 만들었다는 것은 person이라는 자료형을 하나 만든셈이다.여기서 자료형은 int,char,double등을 말한다. INDEX (1)구조체 선언방법 (2)구조체 변수의 초기화 (3)구조체 배열 (4)구조체 배열의 초기화 (5)구조체 변수와 포인터 (6) (7) (8) (1)구조체 선언방법 123456789101112#include struct 구조체이름 { int 뭔가; int 뭔가;}; int main() { struct 구조체이름 변수이름; //구조체 변수 선언(예 : struct person p) int s = p.뭔가; //구조체 접근 방법 }Colored by Color S..
*** C#은 www.visualstudio.com 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1.우선 코드를 보자 예제namespace First_Project_0{class Program{static void Main(string[] args){System.Console.WriteLine("Hellow World");}}} ▶ 모든 C#프로그램은 Main()이라는 시작 함수를 가져야 한다. C와같이 프로그램상에단 1개만 있어야 한다. ▶main은 static으로 선언되며, 메소드 인자는 string[]문자열이다. (이는 나중에가면 자세하게 배우게 된다.) 2.주석처리 C#에서 주석처리는 '//' 또는 '/* */'이 사용된다. C와 같은방법이다. 예제namespace First_Project_0{class Prog..
정적할당 :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정해서 할당해주는 방식동적할당 : 필요에따라 메모리를 할당해주는 방식 1. 메모리영역 메모리영역은 총 4가지의 영역으로 나뉜다. Stack -변수 저장 Heap -내가 할당해주는 영역 Data -데이터 저장 Code -코드 저장 동적할당에서 중요한 부분은 Heap영역이다.우선 Stack과 Heap의 차이점을 알아보자면, Stack은 컴퓨터가 관리하는 메모리이다.하지만 Heap영역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동적할당에서는 Heap영역을 이용하게된다. 2. 동적할당 (메모리)사용방법void* -> int* malloc함수①int * n = (int*) malloc (sizeof(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