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시버 : 외부신호를 내부 전기 신호로 전환. 일반적으로 GBIC이라고 부른다. (상위호환으로 SFP,SFP+,XFP등이 있다) [1] GBIC - SC타입의 커넥터 연결 [2] SFP - LC타입의 커넥터 연결 [3] GLC-TE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트랜시버 커넥터 : 케이블의 끝부분으로 네트워크 장비나 NIC에 연결되는부분. (나는 랜케이블 대가리라 부른다) [1] 트위스티드페어 - RJ45 [2] 광케이블 - LC, FC, MPO 등 MPO(Multiple-Fiber Push-On/Pull-off) : 여러 개의 선로를 이용해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데이터센터와 같이 좁은 공간에 복잡한 케이블을 쉽게 수용하기 위해 고밀도 케이블과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MPO케이블이다...
사설 IP 주소 사설 IP 주소 IPv4 주소 공간은 고갈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하나가 사설 IP 주소할당 이다.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 사설 IP 주소 - ICANN에서 정의한 인트라넷(Intranet) 주소 정책 - 공인 주소 영역에서 일부 주소 블록을 사설 주소를 위해 할당 - 사설 네트워크에서 내부적으로만 사용 가능 (인터넷 상에서 무시됨) · 공인 IP 주소 - 전 세계에 단 하나 밖에 없는 IP 주소 - ISP로 부터 할당 받아 사용 ■ 사설 IP주소 범위 - 전체 IP 공간 중 사설 IP 주소로 사용되는 대역은 미리 정해져 있음 - 인터넷으로 라우팅되지 않는 주소 사설 IP 주소 범위 A 클래스 10.0.0.0 ~ 10.255.255.255 /8 B 클..
서브네팅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개념 · IP주소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는 역할 · IP주소에서 호스트 ID부분을 가려주어 해당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 주소를 구해줌 ■ 구조 · IP 주소와 마찬가지로 32비트 이진수를 8비트 단위로 묶어 점으로 구분하여 표기 · 네트워크 ID에 해당하는 비트는 1, 호스트 ID에 해당하는 비트는 0 · 만드시 연속된 1과 이를 뒤따르는 연속된 0으로 표현된 ■ 기본 서브넷 마스크 (Default Subnet Mask) A 클래스 B 클래스 C 클래스 구조 N.H.H.H N.N.H.H N.N.N.H 기본 서브넷 마스크 255.0.0.0 255.255.0.0 255.255.255.0 * 프리픽스 표기법 (CIDR 표기법) 네트워크 접두..
IP 주소 IP 주소의 개념 IP주소란 인터넷 세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기기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규칙이다. ■ 인터네트워크(internet)과 인터넷(Internet) - internet : 여러개의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 - Internet : 인터네트워크 중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네트워크를 의미 IP 주소의 구조 네트워크 주소의 구조가 어떻게 되는지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에 의해 좌우되는데, 인터넷 세계에서 사용되는 IP는 주소를 32비트로 정의하고 있다. ■ IP버전 - 현재 사용 중인 IP 주소의 버전은 IPv4와 IPv6 - 일반적으로 IP 주소라고 하면 IPv4를 의미함 ■ IP 주소의 표기법 - 2진수 32비트로 구성 => 이론 상 사용 가능한 IP주..
네트워크 모델 프로토콜(Protocol) 통신 개체들 간 성공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규정한 여러 가지 규칙과 방법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요소 설명 구문 (Syntax) 데이터의 형식이나 신호로서 부호화 방법 등을 정의 의미 (Semantic) 오류제어, 동기제어, 흐름제어 같은 각종 절차에 관한 제어정보 정의 순서 (Timing) 송수신자 간 통신 속도나 순서 등을 정의 ■ 표준 프로토콜 (Standard Protocol) * 법률표준 (De jure standard) - 표준화 기관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임의로 만들어내어 입법화한 표준 * 사실표준 (De facto standard) -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어 사실상 표준으로 채택된 표준 * 프로토콜 스위트..
LAN 기술과 종류 매체 접근 제어 (Media Access Control)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장비가 전송매체를 할당받아 네트워크상에 데이터를 올려놓는 방법 => 언제, 어떤 장비가 전송매체를 사용할지를 결정해 주는 것 매체 접근 제어 분류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 이더넷의 방식을 참고하여 개발됨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됨 - 버스형 토폴로지에서 사용 * 동작원리 ① 반송파 검출 (Carrier Sense) : CS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전송매체가 사용중인지 검사 - 사용중이 아니면 전송, 사용중이라면 종료될때까지 대기 ②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 : MA - 모든 장치가 별도의 허..
LAN 전송매체 LAN 전송매체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은 전송매체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전달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전송매체는 주로 구리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이고 데이터 신호는 전기신호의 형태로 바꾸어 전달한다. · 전송매체의 기능 - 데이터 신호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안내 - 데이터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보호 · 전송매체의 분류 구분 유선매체 무선매체 데이터 흐름 물리적 경로를 따라 전달 물리적 경로 없이 공간을 매개로 전달 종류 꼬임줄,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유선 전송매체 * 감쇠 (Attenuation)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 전기적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는 것 * 잡음 (Noise) 도체에 영향을 주어 신호의 왜곡을 일으키는 바람직하지..
1. 랜카드 (LAN card) - 컴퓨터를 LAN에 연결해주는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장치들이 연결되어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동작 원리 · OSI 7계층의 1계층(물리계층), 2계층(데이터링크계층)의 기능을 제공 · 기능 - 컴퓨터 내부에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바꾸어 네트워크로 전송 =컴퓨터 내부에서 묶여있는 데이터를 끊겨있는 데이터로 바꾸어 네트워크로 전송 - 네트워크에서 직렬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바꾸어 컴퓨터 내부로 보냄 =네트워크에서 끊겨있는 데이터를 묶여있는 데이터로 바꾸어 컴퓨터 내부로 전송 -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 정보의 최소단위인 비트를 모아 패킷이라는 형태로 변환 후 한꺼..
토폴로지(Topology) LAN 토폴로지 LAN을 구성하기 위해서 컴퓨터, 전송매채, 접속장치가 필요하다. LAN을 구성한다는 것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각각의 컴퓨터를 어떤 형태로 연결할 것인가 에서부터 출발하며 비용,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토폴로지를 선택한다. ■ 토폴로지 - LAN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놓은 형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의 배치 형태 * 노드(Node) 네트워크의 연결점, 데이터 송신의 재분배점 또는 끝점 LAN에 연결되어 참여하는 장비와 컴퓨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링크(Link) 노드 간 물리적인 연결 ■ 토폴로지 분류 - 정보 통신망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형태를 취할 수 있음 - 주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토폴로지는 5가지가 있다 ..
LAN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의 분류 ■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용 정보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개인영역내의 소규모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집,사무실,빌딩이 같은 제한된 지역에서 여러대의 장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신뢰성 있는 고속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서로 관련있는 LAN들을 상호연결하는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 LAN을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LAN을 만드는 기술) - 미국의 제록스사가 개발한 근거리네트워크(LAN) 기술 -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LAN) · OSI 7계층 참조모델에서 1계층,2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