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네팅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개념
· IP주소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는 역할
· IP주소에서 호스트 ID부분을 가려주어 해당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 주소를 구해줌
■ 구조
· IP 주소와 마찬가지로 32비트 이진수를 8비트 단위로 묶어 점으로 구분하여 표기
· 네트워크 ID에 해당하는 비트는 1, 호스트 ID에 해당하는 비트는 0
· 만드시 연속된 1과 이를 뒤따르는 연속된 0으로 표현된
■ 기본 서브넷 마스크 (Default Subnet Mask)
A 클래스 | B 클래스 | C 클래스 | |
구조 |
N.H.H.H | N.N.H.H | N.N.N.H |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0.0.0 | 255.255.0.0 | 255.255.255.0 |
* 프리픽스 표기법 (CIDR 표기법) 네트워크 접두어 길이 표기법이라고 하는 프리픽스 표기법은 서브넷 마스크에서 1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비트의 수를 IP주소 다음에 /(슬래시)와 |
서브네팅
■ 서브네팅의 개념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인 서브넷(Subnet)으로 분할하는 것
■ 서브네팅의 이점
· IP 주소 낭비를 줄임
·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 네트워크 트래픽 감사
-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 분할
· 관리의 편의성
- 쉬운 장애 발견
- 작은 네트워크 그룹
■ 서브네팅 방법
· IP 주소에서 호스트 ID에 해당하는 비트 중 일부를 네트워크 ID로 만듬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분할
- 방법
① 필요한 서브넷 수 결정
② 서브넷 비트 수 결정
③ 서브넷 마스크 계산
④ 서브넷 주소 계산
⑤ 각 서브넷의 호스트 IP 범위 계산
* 서브네팅 : 네트워크를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로 나누는 것 * 서브넷 : 서브네팅의 결과로 만들어진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의 호스트 부분을 가려주는 마스크 값 * 서브넷 주소 : 서브넷의 네트워크 주소 * 서브넷 비트 : 서브네팅을 위해 호스트 비트 중 일부를 네트워크 비트로 바꿔준 비트 |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t)
■ VLSM의 개념
다양한 길이의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의 길이는 서브넷 마스크의 1의 개수를 의미
- 네트워크를 다양한 크기의 서브넷으로 분할할 수 있음
- 서브넷 내에서의 낭비를 더욱 줄여줌
■ VLSM을 이용한 서브네팅 방법
가장 큰 규모의 서브넷부터 순서대로 주소를 할당해 간다.
CIDR (Classless Inter-network Domain Routing)
■ CIDR의 개념
기존의 클래스형 주소체계(classful addressing)를 대체하는 새로운 주소 할당 방식
* 라우트 서머리 (Route Summary)
네트워크 정보를 요약하여 라우터 자원 낭비문제를 해결
- 라우팅 테이블 항목 수를 줄여줌
- 라우터 간 교환하는 라우팅 정보의 양을 줄여줌
* 슈퍼네팅 (Supernetting)
하나의 기관에 여러 개의 C클래스 네트워크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하여 A클래스, B클래스 주소 고갈문제 해결
- IP주소의 낭비를 줄여줌
■ CIDR을 이용한 경로 요약 방법
① 네트워크 주소와 비트 패턴이 몇 번째 비트까지 일치하는지 구한다.
② 비트패턴이 일치하는 부분까지가 네트워크 ID가 되도록 CIDR 표기법을 이용하여 주소를 표현한다.
* 슈퍼네팅 규칙 ① 할당하는 C클래스 주소의 개수는 2의 거듭제곱수다. ② 할당하는 블록이 연속적이어야 한다. ③ 네트워크 대표주소의 3번째 옥텟은 할당한은 블록 개수의 배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