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Git

기초/Git

Makefile

파일을 일일히 하나씩 컴파일 하다보면 계속 쌓여 관리하기 힘들어진다. 이때 Makefile을 이용해 gcc, 파일삭제, 컴파일 등 다양하고 쉽게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우선 프로그램 실행과정을 살펴보면, 소스파일 -> 목적파일 -> 실행파일을 거쳐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때 소스파일에서 목적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컴파일 목적파일에서 실행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링크라고 한다. 이때 리눅스 환경에서 gcc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c, -o옵션을 통해 각각 목적파일, 실행파일을 만들 수 있다. 예) gcc -c main.c (main.o 생성) gcc -o program.exe main.o plus.o (progra.exe생성) 현재 파일이 main.c, kor.c, ..

기초/Git

[5일차]동기화

**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git commit --amend : 버전수정(push한 이후의 내용은 수정하지 않는다) cd ~ : ~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를 가르킨다. 처음 git을 실행했을때 pwd한 경로가 ~와 같다 두개의 지역저장소가 하나의 원격저장소를 통해 동기화하는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1) 연습용 디렉토리를 만든다 (2) github를 clone 하여 2개의 지역저장소를 만든다(home,office) (3) 이제부터 home과 office를 각각 비교해서 확인해보겠다 (4) [home] git log시 이전에 설정해두었던 버전 3까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ho..

기초/Git

[4일차]지역저장소,원격저장소

**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내 컴퓨터의 지역저장소가 아닌 원격저장소를 통해 다른사람과 공유를 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커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version백업의 의미를 갖는다. 2. 다른사람과 협업의 의미를 갖는다. (1) git init 지역저장소명 : 지역저장소 생성 (2) git init --bare 원격저장소명 : bare는 저장소의 기능만하는 폴드를 만드는 옵션이다. 우리가 작업할 수 있는 working directory가 없다.( '.git'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만 존재한다) 수정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git remote add origin ..

기초/Git

[3일차]Git의 혁신-Branch

**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git commit -a : add가 안된 파일을 add하고 commit한다.(단, 이전에 한번도 add하지 않은것들은 실행하지 않는다) git commit -m : 입력창을 따로 들어가지 않아도 버전이 입력된다 예) git commit -m “version 1” branch는 사용자가 작업는 중간에 다른 요청이 포함된 작업을 해야하고, 또 본인의 작업도 그대로 이어가야할때 나뭇가지처럼 각각 목적별로 작업을 나눌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본인이 개발자일때 현재 고객의 주문으로 로그인 기능 구현과 UI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때 갑자기 다른 고객이 똑..

기초/Git

[2일차]Git의 원리

**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rm 파일 : 파일을 삭제합니다 pip install 모듈 : 모듈을 설치합니다. 비슷한 명령어로 pip3가 있다. .git 디렉토리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가를 통해 깃의 원리를 알아보자! 1. pip install gistory 2. '.git' 디렉토리로 이동 후 ‘gistory’커맨드 실행 3. 주소창에 localhost:호스트넘버를 실행하면 .git디렉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1) .\index에는 우리가만든 파일들의 이름(f1.txt, f2.txt etc...)이 저장되어있다. .\objects\d0\0491fd... 에는 파일이름은 없고 그 파일들..

기초/Git

[1일차]버전관리의 본질

**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cd.. : cd는 폴더 이동을 뜻한다. 뒤의 '..'은 이전 폴더로 이동한다 예) 현재 폴더 : /c/Users -> cd .. -> 현재폴더 : /c cd e/전공/Git : cd는 폴더 이동을 뜻한다. 뒤의 e/전공/git은 경로이다. 주어진 경로로 이동하라는 뜻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현재 /c드라이브에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전 경로로 이동해주지 않으면 e드라이브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cd.. 을 사용해 전부 나간 후 이동할 수 있다. 예) 현재 폴더 : /c/Users -> cd e/전공/Git (오류) -> cd../../e/전공/Git c..

기초/Git

수업소개

**본 게시물은 Infelearn강의 중 생활코딩을 운영하시는 Egiong님의 강좌를 듣고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정리해놓은 게시물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EC%A7%80%EC%98%A5%EC%97%90%EC%84%9C-%EC%98%A8-git/dashboard)** 목차 Git? GitHub? 다운로드 우선 Git과 GitHub의 차이점 입니다. 흔히들 개발자라면 Git을 꼭 배우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저도 물론 개발자가 꿈은 아니지만 Git을 배우라는말을 한두번들어본게 아니었습니다. 그동안 리눅스를 배우면서도 굳이 git을 하지 않은 이유는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그다지 크게 할 필요가 없었기도 하고 개발자만 사용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공부하지 않았습니다 ..

Yoiiin
'기초/Git'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