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가 어느 정도의 command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 거나 리눅스를 다뤄본 적 있다는 가정하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만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원격저장소란?>
내 컴퓨터의 지역저장소가 아닌 원격저장소를 통해 다른사람과 공유를 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커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version백업의 의미를 갖는다.
2. 다른사람과 협업의 의미를 갖는다.
<원격저장소 생성>
(1) git init 지역저장소명 : 지역저장소 생성
(2) git init --bare 원격저장소명 : bare는 저장소의 기능만하는 폴드를 만드는 옵션이다. 우리가 작업할 수 있는 working directory가 없다.( '.git'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만 존재한다) 수정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경로~ : 원격저장소와 현재 위치한 폴더를 연결한다.
+)git remote를 하면 저장소를 보여주며, -v옵션을 추가시 자세히 보여준다
#origin이라는 문자가 다음 경로의 별명같은것이되어 나중에 origin이라는 단어만으로 연결가능하다
(4) git remote remove ~원격저장소 경로~ : 원격저장소 지우기
예)git remote remove origin
<지역저장소 -> 원격저장소>
(1) git push : 현재 브랜치와 동일한 이름의 브랜치로 push한다는 의미이다.
(2)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 --set-upstream : 마스터브랜치에서 push를하면 자동으로 origin의 master로 push하겠다는의미이다.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를 연결하겠다는 명시적 의미 )
그리고 원격저장소로 들어가 확인해보면 로컬에서 저장했던 버전이 가져와졌다
<원격저장소 -> 지역저장소>
(1) git clone HTTP주소 폴더이름 : github에서 받아오는,clone하는 작업을 한다
(2) 그런다음 아래 보이는것처럼 gistory로 이동한다.
(3) git log를 하면 굉장히 많은 정보들이 뜨는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commit의 소스를 보고 싶다면 아,이디를 복사해 ‘git checkout 아이디’를 해주면 된다
<github에 push>
(1) git init
(2) 원격저장소 생성
생성시 원격저장소 주소를 자신의 github주소로 하면 된다.
(3) git push -u origin master : 현재 브랜치를 원격저장소의 master브랜치에 push한다는 의미
+) -u : 로컬저장소의 branch와 원격저장소의 master저장소를 연결한다
따라서 한반만 쓰면 된다
결과적으로 파일이 잘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초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file (0) | 2022.07.08 |
---|---|
[5일차]동기화 (0) | 2021.09.04 |
[3일차]Git의 혁신-Branch (0) | 2021.09.02 |
[2일차]Git의 원리 (0) | 2021.09.01 |
[1일차]버전관리의 본질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