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기초이론

[9장]무선 랜 이해하기

Lesson 35 정리 Lesson 36 정리 1. SSID(Service Set IDentifier)사용 :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클라이언트 연결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어로는 "액세스포인트의 고유이름"이다. 2.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 설정 :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액세스포인트를 찾기위해 설정한다. 3. 무선랜에서는 여러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한다 이때 분할된 영역을 "채널"이라한다. (=>안그러면 wifi처럼 신호가 약해진다ㅠㅠ) 4.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여러대 설치할 때에는 전파가 겹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네트워크/기초이론

[8장]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Lesson 32 정리 1. 랜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 네트워크 구성 - OSI모델로 본 전달과정 - 전달과정 Lesson 33 정리 1. 데이터의 전달과정 ① 스위치A ② 라우터A ③ 라우터B ④ 스위치B 2. 정적라우팅과 동적라우팅 정적라우팅(static routing) : 라우팅테이블에 경로를 수동으로 추가 장점 - 대역폭 부담이 적다, 보안이 좋다 단점 - 장애발생시 우회가 불가능하다 동적라우팅(dynamic routing) : 라우팅테이블에 경로를 자동으로 추가 장점 - 일일히 수동으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단점 - 보안에 취약하다 https://dajjang.tistory.com/30 정적라우팅(Static Routing) 정적라우팅 (Static Routing) : 라우터간 경로를 ..

네트워크/기초이론

[7장]응용계층: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정리 1.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을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을 서버라고한다 2. 클라이언트측 애플리케이션과 서버측 애플리케이션이 통신할 때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한다 프로토콜 내용 HTTP DNS FTP SMTP POP3 웹사이트 접속 이름해석 파일전송 메일전송 메일수신 3. 여기에서 응용계층은 세션,표현계층을 표현한다 Lesson 29 정리 1. WWW(World Wide Web = HTML+URL+HTTP) ①HTML : '하이퍼텍스트->하이퍼링크'를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 ②HTTP HTTP/1.0 - 연결했다 끊는 작업을 반복 HTTP/1.1 - keeplive(계속연결) HTTP/2 - 정보를 순차적으로 보내는것이 아닌 효율성있게 빠르게 전달 Lesson 30 정리 1. DN..

네트워크/기초이론

[6장]전송계층: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식

Lesson 23 정리 1. 전송계층의 기능 ①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 ②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확인(예/메일,웹,서버등...) 2. 연결형(신뢰성 > 효율성) - TCP 3. 비연결형(신뢰성 < 효율성) - UDP Lesson 24-25 정리 ①연결 : 가상의 독점 통신로 생성 ②CodeBit (64bit) URG : urgent point PSH : Ack에 표시된 데이터까지 상위계층에 전달 RST : 연결리셋 혹은 유효하지 않은 세그먼트 응답용 ③Sequence & Acknowledgment Number (64bit) Sequence Num - 현재 데이터 순서 acknowledgement Num - 몇번째 데이터 받았는지 수신 ④재전송제어 : 데이터 손상or유실시 데이터 재전송..

네트워크/기초이론

[5장]네트워크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Lesson 17 정리 1. 네트워크계층은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2. 이때 사용하는것이 라우터 장비이다 3. 데이터링크계층에서는 MAC주소를 사용하지만, 네트워크계층에서는 IP주소를 사용한다 4. 라우팅 :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것이다 (이때 경로는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다) 5. 캡슐화 과정 version : IPv4,IPv6 두가지 버전 header length : 사용 가능한 헤더길이 service type : 서비스품질 관련 total length : 전체 패킷 길이 ID : 분할된 패킷 조각 병합시 같은ID끼리 식별 가능 flags : X,D,M 3가지로 나뉘는데 X는 사용하지 않고, D(Don't fragment)값이 1일 경우 패킷 분할 x,..

네트워크/기초이론

[4장]데이터링크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12 정리 1. 이더넷 :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이다. 허브에서 목적지를 추가해 단점을 보완한다 2. 이더넷에서는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D(CA)방식을 사용한다. CS -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 MA - 신호가 흐르지 않는다면 프레임 전송 CD - 충돌 확인 (o) CA - 충돌 확인 (x) Lesson 13 정리 1. MAC주소 : 랜카드 제조시 만들어지는 주소로 물리주소라고도 한다. 2. 캡슐화 과정 - 프레임을 물리계층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 역캡슐화 과정에서 목적지가 아니면 데이터를 파기한다 - 두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시 출돌 방지로 CSMA/CD를 사용하는 것이다. Lesson 14 정리 1. 장비..

네트워크/기초이론

[3장]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Lesson 9 정리 1. 전기신호에는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가 있다 2. 아날로그신호는 전화회선이나 라디오방송에 사용되는 신호이다 3.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카드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Lesson 10 정리 1. 네트워크의 전송매체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랜케이블)이 있다. * UTP랜케이블 : 실드가 없어 노이즈가 약하다 * STP랜케이블 : 실드가 있어 노이즈에 강하다 * 노이즈 : 전기신호의 형태를 왜곡시킨다 2. RJ-45 - 랜케이블 대가리(?) 3. 랜케이블에는 다이렉트케이블과 크로스케이블이 있다. 각각 컴퓨터-스위치, 컴퓨터-컴퓨터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 그림에서 보다시피 케이블속 8개의 전선중 실제 사용하는 선은 1,2,3,6 4개이다. * ..

네트워크/기초이론

[2장]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Lesson 6 정리 1.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2.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송신부터 수신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한다. 예) 우편배달 -> 편지를 쓴다 -> 편지를 우체통에 넣는다 -> 우편배달부가 우체통에서 편지를 수거한다 -> 수거한 편지를 가까운 우체국으로 가져간다 -> 편지를 분류한다 -> 우편배달부가 수신처에 가까운 우체국으로 편지를 운송한다 -> 운송된 편지를 수신처의 우편함에 넣는다 -> 우편함에서 편지를 찾는다 -> 편지의 내용을 읽는다 여기서 우리는 '편지를 쓰는 규칙', '편지를 보내느 규칙', '우체국의 규칙'등 독립적인 여러 규칙들을 거친다. Lesson 7 정리 1.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OSI모델을 제정했다. 2. OSI 7계층(..

네트워크/기초이론

[1장]네트워크 첫걸음

Lesson 1 정리 1. 컴퓨터 간의 연결을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2.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3. 패킷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흘러가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패킷을 나눠서 전송을 하면 송신자가 데이터를 받을 때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수도있다. 따라서 다시 순서대로 정렬을 하여 데이터를 퍼즐처러 끼워맞춘다. 4. 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한다.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대역폭을 많이 차지해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다. Lesson 2 정리 1.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한다. 이 0과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 2.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라고 하며, 비트 여덟 개를 1..

Yoiiin
'네트워크/기초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