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35 정리
Lesson 36 정리
1. SSID(Service Set IDentifier)사용
: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클라이언트 연결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어로는 "액세스포인트의 고유이름"이다.
2.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 설정
: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액세스포인트를 찾기위해 설정한다.
3. 무선랜에서는 여러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한다
이때 분할된 영역을 "채널"이라한다.
(=>안그러면 wifi처럼 신호가 약해진다ㅠㅠ)
4.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여러대 설치할 때에는 전파가 겹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SMALL
'네트워크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장]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0) | 2022.03.22 |
---|---|
[7장]응용계층: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2.03.22 |
[6장]전송계층: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식 (0) | 2022.03.21 |
[5장]네트워크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2.03.20 |
[4장]데이터링크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