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6 정리
1.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2.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송신부터 수신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한다.
예) 우편배달
-> 편지를 쓴다
-> 편지를 우체통에 넣는다
-> 우편배달부가 우체통에서 편지를 수거한다
-> 수거한 편지를 가까운 우체국으로 가져간다
-> 편지를 분류한다
-> 우편배달부가 수신처에 가까운 우체국으로 편지를 운송한다
-> 운송된 편지를 수신처의 우편함에 넣는다
-> 우편함에서 편지를 찾는다
-> 편지의 내용을 읽는다
여기서 우리는 '편지를 쓰는 규칙', '편지를 보내느 규칙', '우체국의 규칙'등 독립적인 여러 규칙들을 거친다.
Lesson 7 정리
1.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OSI모델을 제정했다.
2. OSI 7계층(그냥 다 외우자..)
송 신 |
1 | 물리계층 | 물리연결, 전기신호 | 수 신 |
2 | 데이터링크계층 | 물리주소, 네트워크기기간 통신 | ||
3 | 네트워크계층 | 논리주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위한 경로 설정 | ||
4 | 전송계층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 ||
5 | 세션계층 | 통신방식설정 | ||
6 | 표현계층 | 데이터변환 (압축화, 암호화 등) | ||
7 |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서비스 | ||
< OSI 7계층 > |
3. TCP/IP 모델(그냥 다 외우자..)
1 | 1 | 네트워크 접속 계층 | 다양한 프로토콜 |
2 | |||
3 | 2 | 인터넷계층 | |
4 | 3 | 전송계층 | |
5 | 4 | 응용계층 | |
6 | |||
7 | |||
< TCP/IP 모델 > |
<추가 참고>
https://dajjang.tistory.com/26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 모델 프로토콜(Protocol) 통신 개체들 간 성공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규정한 여러 가지 규칙과 방법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요소 설명 구문 (
dajjang.tistory.com
Lesson 8 정리
캡 슐 화 | v |
송신 | 수신 | ^ | 역 캡 슐 화 |
|
응용계층 | 데이터 | 데이터 | ||
전송계층 | header + 데이터 | header - 데이터 | ||
네트워크계층 | header + header 데이터 | header - header 데이터 | ||
데이터링크계층 | header + header header 데이터 + 트레일러 | header - header header 데이터 - 트레일러 | ||
물리계층 | header header header 데이터 트레일러 | |||
데이터 전송 방식 |
1.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받는 상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2. 데이터링크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전기신호로 변한다.
3. VPN(Virtual Private Network)가상사설망
* 지점간 접속 연결 -> IPsec 암호화 사용
* 원격 접속 연결 -> 암호화된 통신로
4. IP-VPN은 MLPS라는 폐쇄망을 이용하기때문에 따로 암호화를 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전송계층: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식 (0) | 2022.03.21 |
---|---|
[5장]네트워크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2.03.20 |
[4장]데이터링크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2.03.18 |
[3장]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0) | 2022.03.17 |
[1장]네트워크 첫걸음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