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라우팅 (Dynamic Routing)
: 인접한 라우터간에 자동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주고받으며
라우팅 테이블을 상시 생성, 유지 하는 라우팅 방식
■ 장단점
* 적응성이 높다
* 유지가 쉽다
* 대역폭 소비가 크다
■ RIP(포트번호 : UDP_520)
① 토폴로지에서 라우터와 PC에 IP할당을 완료한다. (Ping테스트시 실패..)
② Router0
Router(config)# route rip Router(config-router)# network [ 인접한 네트워크영역 IP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92.168.0.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0.10.0.0 ] |
③ Router1
Router(config)# route rip Router(config-router)# network [ 인접한 네트워크영역 IP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92.168.1.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0.10.0.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20.20.0.0 ] |
④ Router2
Router(config)# route rip Router(config-router)# network [ 인접한 네트워크영역 IP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92.168.2.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20.20.0.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30.30.0.0 ] |
⑤ Router3
Router(config)# route rip Router(config-router)# network [ 인접한 네트워크영역 IP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192.168.3.0 ] Router(config-router)# network [ 30.30.0.0 ] |
⑥ ping테스트 또는 PDU테스트를 통한 점검
네트워크 연결 확인방법에는 총 2가지가 있다.
1. ping test
2. PDU message test
위에는 1번 ping test를 사용한 확인법이다.
아래부터는 2번 PDU message test를 사용할 것이다.
⑦ 특징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단일 경로 라우팅 프로토콜
+ 계층없고 평면적인 구성
+ 네트워크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위는 Hop Count(홉수)이며, 도달할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때 쓰는데
어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의 홉수는 0이며, 최대 홉수는 15이다. -> 30초마다 갱신
16을 초과시 통신불가
■ OSPF(포트번호 : 89)
① Router1 설정
Router(config)# route ospf [ process-number ]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 area ] [ area 번호 ] Router(config)# route ospf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1.0 ] [ 0.0.0.255 ] [ area ]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2.0 ] [ 0.0.0.255 ] [ area ] [ 1 ] |
process-number : 한 라우터에 여러 개의 OSPF를 설정할때 숫자로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와일드 카드 마스크 : 서브넷 마스크를 반전 시켜준 것으로,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 0.0.0.255( 00000000.00000000.00000000.11111111 )
area, area 번호 : area번호는 네트워크 구역을 나누는 용도로 사용된다.
구역이 1개일 경우 숫자는 상관없지만,
구역이 여러개로 나뉠경우 꼭 0부터 시작해야 한다.
② Router0 설정
Router(config)# route ospf [ process-number ]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 area ] [ area 번호 ] Router(config)# route ospf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2.0 ] [ 0.0.0.255 ] [ area ]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3.0 ] [ 0.0.0.255 ] [ area ] [ 1 ] |
③ Router2 설정
Router(config)# route ospf [ process-number ]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 area ] [ area 번호 ] Router(config)# route ospf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3.0 ] [ 0.0.0.255 ] [ area ] [ 1 ] Router(config)# network [ 192.168.4.0 ] [ 0.0.0.255 ] [ area ] [ 1 ] |
④ 연결 테스트
통신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⑤ 특징
+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을 때만 갱신
+ RIP는 15홉수로 네트워크의 크기가 제한이 있는 반면, OSPF는 크기 제한이 없다
■ EIGRP * CISCO장비에서만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 (포트번호 : 88)
① Router 0
Router(config)# route eigrp [ as_number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Router(config)# route eigrp [ 10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1.1.1.0 ] [ 0.0.0.255 ] Router(config)# network [ 192.160.1.0 ] [ 0.0.0.255 ] |
as_number : 관리자가 관리하는 라우터 영역 번호
② Router 1
Router(config)# route eigrp [ as_number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Router(config)# route eigrp [ 10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1.1.1.0 ] [ 0.0.0.255 ] Router(config)# network [ 2.2.2.0 ] [ 0.0.0.255 ] Router(config)# network [ 192.170.2.0 ] [ 0.0.0.255 ] |
③ Router 2
Router(config)# route eigrp [ as_number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 [ 와일드 카드 마스크 ] Router(config)# route eigrp [ 10 ] Router(config)# no auto summary Router(config)# network [ 2.2.2.0 ] [ 0.0.0.255 ] Router(config)# network [ 192.180.3.0 ] [ 0.0.0.255 ] |
④ 연결 테스트
통신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⑤ 특징
+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을 때만 갱신
+ 어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의 홉수는 0이며, 최대 홉수는 224이다.
224를 초과시 통신불가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라우팅(Static Routing) (0) | 2019.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