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Lesson 9 정리
1. 전기신호에는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가 있다
2. 아날로그신호는 전화회선이나 라디오방송에 사용되는 신호이다
3.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카드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Lesson 10 정리
1. 네트워크의 전송매체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랜케이블)이 있다.
* UTP랜케이블 : 실드가 없어 노이즈가 약하다
* STP랜케이블 : 실드가 있어 노이즈에 강하다
* 노이즈 : 전기신호의 형태를 왜곡시킨다
2. RJ-45 - 랜케이블 대가리(?)
3. 랜케이블에는 다이렉트케이블과 크로스케이블이 있다.
각각 컴퓨터-스위치, 컴퓨터-컴퓨터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 그림에서 보다시피 케이블속 8개의 전선중 실제 사용하는 선은 1,2,3,6 4개이다.
* 컴퓨터가 통신을 할 때는 1,2번 전선을 이용하는데, 이때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게되면 충돌이 생기기 때문에
크로스케이블을 사용한다.
<추가 참고>
https://dajjang.tistory.com/24?category=829356
LAN 전송매체
LAN 전송매체 LAN 전송매체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은 전송매체를 통한 데이터 신호의 전달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전송매체는 주로 구리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이고 데이터 신호는
dajjang.tistory.com
https://dajjang.tistory.com/45
트랜시버/커넥터
트랜시버 : 외부신호를 내부 전기 신호로 전환. 일반적으로 GBIC이라고 부른다. (상위호환으로 SFP,SFP+,XFP등이 있다) [1] GBIC - SC타입의 커넥터 연결 [2] SFP - LC타입의 커넥터 연결..
dajjang.tistory.com
Lesson 11 정리
1. 장비 <리피터>
: 전기신호 정형 및 신호증폭의 역할을 한다. 지금은 다른 장비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2. 장비 <허브(dummy hub)>
: 리피터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포트가 여러개 있어 컴퓨터 여러대와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의 문제점으로 인해 더미허브(dummy hub)라고 부르기도하며 이를 보완한 장비가 switch이다.(나중에 설명)
<문제점>
컴퓨터 5대가 허브에 연결되어있다.
1번 컴퓨터가 3번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고 싶다면 허브에서는 모든 포트가 연결이 되어있기 때문에
3번 컴퓨터외에도 다른 컴퓨터 전부에게 신호가 보내진다. 결과적으로 2,3,4,5번 컴퓨터가 전부
신호를 받게된다.
<추가 참고>
https://dajjang.tistory.com/23?category=829356
네트워크 장비
1. 랜카드 (LAN card) - 컴퓨터를 LAN에 연결해주는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장치들이 연결되어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dajjang.tistory.com